<2025> Sulfide-based Solid Electrolyte Technology Deveopment Status and Market Outlook
상품코드:1695951
리서치사:SNE Research
발행일:2025년 03월
페이지 정보:영문 또는 국문 - 444 Pages
라이선스 & 가격 (부가세 별도)
한글목차
현재의 리튬이온전지의 큰 약점인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차세대전지로서 고체전해질을 적용한 전고체전지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전고체전지의 장점은 「우수한 안전성」, 「높은 에너지밀도」, 「높은 출력」, 「넓은 사용온도」, 「단순 전지구조」 등을 꼽을 수 있으며, 전고체전지의 핵심소재는 단연 고체전해질로서, 전지에서의 특성이나 파급력에서 현재는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이 가장 앞서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은 액체 전해질에 근접한 높은 이온전도도(10-3-10-2S/cm)와 저온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며, 입자간 밀착성이 좋아 공정성이 우수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화합물로서는 Li10GeP2S12 (LGPS), Li7P3S11, Li6PS5Cl가 있으며, argyrodite는 비교적 저렴하고 대량합성에 유리하며 안정성이 좋기 때문에 현재 대부분의 업체에서 채용하고 있습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황화물계 전해질은 수분에 취약하기 때문에 doping기술을 이용해 이온전도도와 안정성을 향상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리튬금속 및 양극 소재와 직접 접촉 시 계면 반응이 발생하기 때문에 전극 인터페이스 안정화를 위해서 계면층 설계(interfacial layer) 또는 버퍼층을 도입하는 방법을 시도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고체전해질의 코스트 다운을 위해서는 저가 원료 및 대량합성 공정기술 확보가 중요합니다.
국가적인 동향을 보면 그 동안 한국과 일본, 미국에 비해 전고체전지 기술개발에서 뒤쳐져 있었던 중국도 24.2월 CASIP이란 중국 전고체 배터리 산학연 협동 혁신 플랫홈을 출범시켜 전고체 배터리 공급망 구축과 기술개발을 통해 차세대 배터리에서도 글로벌 넘버원이 되겠다는 야심찬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한국도 민관합동 배터리 얼라이언스 프로그램을 통하여 전고체전지 개발 및 관련 생태계 육성에 중점을 두고 있고, 일본도 경제산업성의 지원을 비롯해 자동차 및 배터리사가 1.2조엔에 달하는 투자를 발표한 바 있습니다.
SNE Research의 전망에 따르면 글로벌 전고체전지 시장규모는 전지용량면에서는 ’30년 -122GWh, ’35년엔 -493GWh의 시장이 전망되며 전체 전지의 약 6.10%를 전고체전지가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적용한 전지는 ’30년 45GWh, ’35년 275GWh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현재,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로서 황화물계가 가장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지만, 다음의 크게 두가지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첫째는 충방전수명입니다. 전기차에 탑재해 상용화하려면 충방전수명을 수천 사이클 이상으로 끌어 올려야 하는데, 현재는 수십-수백 사이클에 머물러 있습니다. 둘째는 제조비용을 낮추는 것인데 현재의 전고체전지의 제조비용은 kWh당 기존 LiB에 비해 4배 - 25배 정도 비싸기 때문에 상용화의 큰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결국, 전고체전지 상용화의 핵심은 장수명과 저가격이 가능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개발 및 제조기술개발에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본 리포트는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개발에 있어서 지금까지 진행되어온 고체전해질 합성 및 전지에의 적용까지 폭 넓게 기술하고 있으며, 최근에 큰 흐름의 하나인 수분에의 저항력이 향상된 대기안정형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특히 argyrodite계의 합성 및 응용에 이르기까지 deep dive하게 기술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출발물질인 황화리튬(Li2S)의 저가격 합성법과 해당 업체의 제품과 현황을 폭 넓게 다루고 있습니다.
목차
1. 고체전해질 개요 및 시장전망
서론
고체전해질의 분류 및 역사
고체전해질 및 전고체전지 개발현황
무기계 고체전해질의 주요 이슈
전고체전지를 둘러싼 기술문제 및 해결방안
반고체(하이브리드)전해질 및 이를 적용한 전지
전해질 종류별 시장 전망
고체전해질 관련 특허 및 논문발표 현황
2.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
서론
고분자계 고체전해질
이온전도도 향상 방법
무기계 고체전해질
산화물계
인산염계
황화물계
복합 고체전해질
계면
양극-고체 전해질 계면
리튬음극-고체 전해질 계면
입자간 계면
전해질 기술에 대한 요구사항 및 향후 전망
3. 황화리튬 (Li2S)
서론
고상 합성법의 종류
액상 합성법의 종류
Li2S 합성
Lab scale 합성
산업적 Li2S생산 및 재처리
Li2S의 산업적 생산
Li2S 제조 시 원재료 예상가격
4.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서론
LiPSCl (Argyrodite_LiPSX)개요
Li argyrodite 합성[1]: 기계적 milling방법
Li argyrodite 합성[2]: 기계적 milling+ post annealing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