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제조기술분석 및 시장 전망 (대기안정형 Sulfide 중심)
<2023> Sulfide-based Solid Electrolyte Manufacturing Technology Analysis and Market Outlook (Focusing on Air-stable Sulfide)
상품코드 : 1321103
리서치사 : SNE Research
발행일 : 2023년 07월
페이지 정보 : 영문 또는 국문 - 304 Pages
 라이선스 & 가격 (부가세 별도)
₩ 6,500,000 ₩ 6,500,000
PDF (Corporate License) help
PDF 보고서를 동일 기업의 모든 분이 이용할 수 있는 라이선스입니다. 텍스트의 Copy & Paste 가능합니다. 인쇄 가능하며 인쇄물의 이용 범위는 PDF 이용 범위와 동일합니다.


한글목차

현재의 리튬이온전지의 큰 약점인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차세대전지로서 고체전해질을 적용한 전고체전지가 떠오르고 있습니다. 전고체전지의 장점은 「우수한 안전성」, 「높은 에너지밀도」, 「고출력」, 「넓은 사용온도」, 「단순한 전지구조」 등을 꼽을 수 있으며, 전고체전지의 핵심소재는 단연 고체전해질로서, 전지에서의 특성이나 파급력에서 현재는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이 가장 앞서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SNE Research의 전망에 따르면 글로벌 전고체전지 시장규모는 2022년 약 2,750만 달러에서 연평균 180%의 높은 성장률을 나타내어 2030년 약 400억 달러의 큰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전지용량면에서는 ‘30년 -149GWh, ‘35년엔 -950GWh의 시장이 전망되며 전체 전지의 약 10%를 전고체전지가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은 ‘30년 43GWh, ‘35년 494GWh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21.6월 전고체전지의 선행 개발자인 도요타가 전고체전지를 탑재한 EV로 도로시험주행까지 마쳤으나, 동년 9월 발표에선 고체전해질과 활물질의 gap발생으로인한 사이클수명 저하 문제로 인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고체전해질 물질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고체전해질 자체 및 활물질과의 계면문제 등 내구성문제 해결이 쉽지 않음을 보여주었습니다.

하지만, 지난 6.13일 도요타는 「TOYOTA Technical Workshop 2023」을 통해 전고체전지를 탑재한 EV를 ‘27-’28년께 상용화한다는 목표를 내놓음으로써 전고체전지의 내구성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한편, 국내 배터리 3사도 이전부터 각각 전고체전지를 개발해 오고 있으며, 삼성SDI는 27년부터 SK On은 27년부터, LG엔솔은 30년이후로 양산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현재,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로서 황화물계가 가장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지만, 다음의 크게 두가지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첫째는 충방전수명입니다. 전기차에 탑재해 상용화하려면 충방전수명을 수천 사이클 이상으로 끌어 올려야 하는데, 현재는 수십-수백 사이클에 머물러 있다. 둘째는 제조비용을 낮추는 것인데 현재의 전고체전지의 제조비용은 kWh당 기존 LiB에 비해 4배 - 25배 정도 비싸기 때문에 상용화의 큰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결국, 전고체전지 상용화의 핵심은 장수명과 저가격이 가능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개발 및 제조기술개발에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본 리포트는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개발에 있어서 지금까지 진행되어온 고체전해질 합성 및 전지에의 적용까지 폭 넓게 기술하고 있으며, 최근에 큰 흐름의 하나인 수분에의 저항력이 향상된 대기안정형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특히 argyrodite계의 합성 및 응용에 이르기까지 deep dive하게 기술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출발물질인 황화리튬(Li2S)의 저가격 합성법과 해당 업체의 제품과 현황을 폭 넓게 다루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황화리튬과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생산하고 있는 업체가 출원한 특허 및 라이선스특허의 권리범위와 실시예까지 상세하게 분석하였으며, 해당 업체의 최신현황과 가장 활용성이 예상되는 Argyrodite 및 LGPS계 특허를 심도 있게 분석하여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을 개발하거나 다루는 분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본 보고서의 Strong Point는 다음과 같습니다.

목 차

1. 고체전해질 개요 및 시장전망

2.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

3. 황화리튬 (Li2S)

4.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5. 대기안정형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6.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주요 특허분석 및 업체동향

References

(주)글로벌인포메이션 02-2025-2992 kr-info@giikorea.co.kr
ⓒ Copyright Global Information, Inc. All rights reserved.
PC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