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전고체전지 기술 현황 및 시장 전망(-2035) - 제조원가 중심
<2025> Technology Status and Market Outlook of All-Solid-State Battery (~2035) - With a Focus on Manufacturing Costs
상품코드 : 1827037
리서치사 : SNE Research
발행일 : 2025년 09월
페이지 정보 : 영문 또는 국문 - 197 Pages
 라이선스 & 가격 (부가세 별도)
₩ 6,500,000 ₩ 6,500,000
PDF (Corporate License) help
PDF 보고서를 동일 기업의 모든 분이 이용할 수 있는 라이선스입니다. 텍스트의 Copy & Paste 가능합니다. 인쇄 가능하며 인쇄물의 이용 범위는 PDF 이용 범위와 동일합니다.


한글목차

부제: 전고체전지 제조원가 및 Forecast

LiB의 안정성 및 에너지 밀도에 관한 Issue가 지속적으로 나옴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차세대 전지 개발이 점차 확산되고 있고, 전고체전지는 이중에서도 안정성 및 개발 완성도 측면에서 가장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전고체전지는 큰 틀에서 전해질의 물질의 종류 황화물계, 산화물계, 폴리머계 3가지로 분류될 수 있으며, 각 물질별로 서로 다른 장/단점 및 Issue 사항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기술접근성이 우수하고 문제점을 보완한 하이브리드 형태(폴리머+산화물, 전고체 + 소량의 액상)도 시장에 출시될 예정이였습니다. 본 보고서는 이러한 물질의 종류별 장/단점 및 Issue 사항 및 제조 공정 등을 기술하였습니다. 또한, 각 기업별 주요 개발 종류 및 종류별 시장전망을 ‘35년까지 전망하였습니다.

본 보고서는 기술의 개발 정도, OEM 요구 사항, 전고체전지사들의 목표 양산 시점들을 종합하여 시장을 산출하였으며, 전지사의 종류별, 기업별, Application별로 시장을 분석하였습니다. 위의 내용을 총 10개 장으로 나누어 내용을 기술하였으며, 각 장별 대략적인 내용은 아래의 목차와 같습니다.

최근 몇 년 동안 전고체전지의 양산에 대한 기대감이 증가하고 있으며, 실제로 몇몇 기업들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소량 규모로 양산을 시작하고 있으며, 전고체 전지의 종류로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제조원가 및 Forecast 찹터를 신설하여, 전판에서 다루고 있지 않았던 황화물계 전고체 전지의 재료비와 가공비를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고,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액상 전지와 재료비 및 가공비 측면에서 무엇이 같고, 다른 점이 있으며, 얼마나 제조원가에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를 실시하였습니다. 전고체전지 가공비를 계산하기 위해, 새롭게 도입되는 전고체 전지 공정과 설비와 이를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인력등을 추가하여 한 눈에 액상과 황화물계 전고체 전지의 제조원가를 비교 분석하였습니다.

2025년 기준으로 황화물계 전고체 전지의 원가가 액상대비 높지만 핵심항목의 원가절감 방안과 년도별 절감액을 기준으로 향후 2035년까지 황화물계 전고체전지의 원가를 프로젝션하였습니다. 제조 원가를 바탕으로 전고체 전지 장점을 십분 활용할 수 있는 사용처를 기준으로 시장을 예측하였습니다.

목차

1. 서론

2. 전고체전지

3. 황화물계 전해질

4. 산화물계 전해질

5. 폴리머계 전해질

6. 전고체전지 연구개발 동향

7. 전고체전지 특허 동향

8. 전고체전지 개발업체 현황

9. 전고체전지 제조원가 및 Forecast(-2035)

10. 전고체전지 시장 전망

(주)글로벌인포메이션 02-2025-2992 kr-info@giikorea.co.kr
ⓒ Copyright Global Information, Inc. All rights reserved.
PC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