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신간> 이차전지 급속충전 최신 기술동향과 전망
<2025> Fast Charging Technology Trends and Outlook for Secondary Batteries
상품코드 : 1741565
리서치사 : SNE Research
발행일 : 2025년 05월
페이지 정보 : 영문 또는 국문 - 277 Pages
 라이선스 & 가격 (부가세 별도)
₩ 6,500,000 ₩ 6,500,000
PDF (Corporate License) help
PDF 보고서를 동일 기업의 모든 분이 이용할 수 있는 라이선스입니다. 텍스트의 Copy & Paste 가능합니다. 인쇄 가능하며 인쇄물의 이용 범위는 PDF 이용 범위와 동일합니다.


한글목차

CATL은 ’25년 4.21일 ‘Super Tech Day’에서 2세대 Shenxing 배터리를 공개했습니다. 이 배터리는 LFP기반으로, 5분 충전으로 최대 520km의 주행이 가능하며, 영하 10℃에서도 15분만에 5%-80%까지 충전이 가능한 것으로 2025년 내 67종 이상의 전기차 모델에 탑재할 예정이라고 발표하였습니다.

이보다 앞선 ’25.3월에 BYD는 5분 충전으로 약 470km 주행이 가능한 10C 플래시 충전 블레이드 배터리를 발표했습니다. 실리콘 카바이드(SiC) 전력 칩과 자체 개발한 블레이드 배터리로서, 이 기술은 -1000V급, 최대전력 1MW로 충전이 가능한 것으로서 중국 내 4,000개 이상의 초고속 충전소를 구축할 예정이며, Tesla의 super charger보다 빠른 충전 속도를 자랑하며, 전기차 충전 시간을 내연기관 차량의 주유 시간과 유사한 수준으로 단축시켰습니다.

CATL과 BYD의 초고속 충전 기술은 전기차의 충전 시간과 주행 거리 문제를 해결하며, 전기차 대중화를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러한 기술 혁신은 미국과 유럽의 배터리 업체들에게도 큰 도전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세계 최대의 충전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는 중국은 2025년까지 2,000만대 이상의 전기차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충전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며,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 등 다양한 충전 방식을 도입하고 있고, 2024년 10월 기준으로 총 1,188만개의 충전기가 설치되었고, 이 중 공공 충전기는 339만 개입니다.

미국은 2024년말 기준으로 약 20만개의 공공 충전 포트가 운영 중이며, EVgo는 5년간 7,500개의 350kW급 급속 충전기를 설치할 계획으로, 기술 표준화를 통해 테슬라의 NACS(North American Charging Standard) 플러그가 SAE 국제 표준으로 채택되었으며, 주요 완성차 업체들이 이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EU는 2030년까지 350만개의 공공 충전 포인트 설치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고속도로마다 60km 간격으로 급속 충전소 설치를 의무화했으며 2023년말 기준으로 63만개 이상의 공공 충전기가 설치되었고, 연간 약 41만개의 충전기 설치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기술 표준화로서 CCS(Combined Charging System)가 주요 표준으로 채택되어 있으며, 고출력 급속 충전소(HPC) 설치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한편, 한국은 2030년까지 123만개의 충전기 설치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 중 2025년까지 1.2만개의 DC 급속 충전기를 설치할 계획으로서 2022년 말 기준 약 20만 개의 공공 충전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DC 급속 충전기의 비율은 전체의 약 13%로, 향후 고출력 충전기 설치가 확대될 예정입니다.

향후 급속 충전 기술은 전고체 배터리 및 하이브리드 전지 시스템, 초고전압 충전 시스템(800V 이상), 무선충전 기술 등과 융합되어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차전지의 급속 충전 기술은 단순한 충전 속도의 문제가 아니라 배터리 소재, 설계, 시스템 통합 기술의 집약체로, 향후 전기차의 대중화 및 배터리 기반 에너지 산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에 중추적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보입니다.

급속충전용 양극재는 급속충전 시 높은 전류 밀도를 감당할 수 있어야 하므로, 기존의 NCM622이나 NCM811보다 니켈 함량이 더 높은 하이니켈(NCM/NCA) 계열이 주로 사용되며, 급속충전 시 발생하는 산화반응을 제어하기 위해 코팅 기술(예: Zr, Al, Ti 기반 코팅)이 함께 적용됩니다.

음극재는 급속충전 시 리튬 도금(Lithium plating) 위험이 존재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실리콘 복합 음극재(SiOx, Si-C 복합체)가 주목받고 있으며, 다만 팽창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바인더 개선 및 표면 개질이 병행되고 있습니다.

한편, 전해질은 이온 전도도가 높은 전해질 조성이 필수입니다. 이를 위해 고농도 전해질(HCE, LHCE)이나 첨가제(예: FEC, VC)를 활용해 SEI 형성을 제어하고, 전해질의 열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적용됩니다.

특히, 전극 설계 및 구조에서는 전극 내 리튬 이온의 확산 경로를 단축하기 위해 얇은 전극 설계 또는 3차원 구조 전극이 적용되고 있으며, 전도성 첨가제를 최적화하여 내부 저항을 최소화하는 방식도 함께 사용됩니다. 이러한 구조 개선은 충전 시간 단축뿐만 아니라 열 발생 억제에도 기여합니다.

최근에 와서 그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는 열 관리 시스템은 배터리 셀 단위에서의 발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CM(상변화물질) 기반 냉각, 액체 냉각 시스템, 인공지능 기반 온도 예측 제어 시스템 등 다양한 열 관리 기술이 병행되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전 세계 EV 충전기 시장 규모는 약 224억 5천만 달러로 추정되며, 2032년까지 2,57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어 연평균 성장률(CAGR)은 약 35.6%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Fortune Business Insights).

본 리포트는 배터리 급속 충전현황, 급속충전 기술 및 동향, 급속 충전 시스템 적용, 마지막으로 차세대 급속충전 기술 개발 동향까지 폭 넓게 다루고 있으며, 급속 충전에 관한 기본부터 적용에 이르기까지 상세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급속 충전에 관한 전지와 충전기 두 영역의 기술을 이해하고 습득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본 보고서의 Strong Point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급속 충전 인프라를 둘러싼 현황에 대한 최신 동향 수록

② 급속 충전 기술을 둘러싼 주요 배터리 OEM 들의 개발 현황 상세 수록

③ 국내/외 급속 충전 기술 정책 및 표준화 동향의 상세 수록

④ 소형부터 Drone, UAM, 자율주행 로봇, EV에 이르기까지 각각의 급속 충전 시스템에 대하여 수록

⑤ 배터리의 무선 급속 충전 등 차세대 충전 기술 및 연구동향에 대하여 상세 수록



<급속 충전 기반 내부 온도 특성 변화 - ① 원통형>


<리튬 도금(Lithium Plating) 방지 목적 배터리 팩 급속 충전 최적화 연구>


목차

1. EV / LIB Market Dynamics

1. 배터리 급속 충전 인프라 및 개발 현황

2. 배터리 급속 충전 기술 소개

3. 배터리 급속 충전 기술 동향

4. 배터리 급속 충전 시스템 적용

5. 차세대 급속 충전 기술 개발 동향

(주)글로벌인포메이션 02-2025-2992 kr-info@giikorea.co.kr
ⓒ Copyright Global Information, Inc. All rights reserved.
PC버전 보기